대략 그정도 두께인데 1적구를 단쿠션 수직방향으로 보내는 두께 정도 됩니다. 그래서 수구의 위치에 따라 좀 달라져요 ㅠ.ㅠ
샬롬드림7 개월 전
질문 드립니다. 1) 30차이 안나는 경우 50-25-10=15인데 2적구가 10P, 5P(두경우)에서 들어가는 위치에 있을 때 회전을 중단2팁, 1팁을 치면 되나요?(1팁당 반칸 계산) 아니면, 10시 3팁, 중단2팁으로 쳐야할까요? 결국 아래 2)번 질문도 비슷하지만 회전을 중단1팁씩 줄이면 3쿠션도 한칸씩 줄어드는지 반칸 줄어드는지? 의 질문 입니다. 2) 30이상 차이나는 경우 60-30-10=20인데 2적구가 10P, 5P(두경우)에서 들어가는 위치에 있을 때 보통의 3팁을 주면 15정도로 반p정도 짧아지는 듯 한데 이렇듯 30이상 차이나는 경우도 위의 1번 30이상 차이 안나는 경우와 동일하게 회전 1팁당 3쿠션 한칸 또는 반칸의 개념으로 조정하면될까요? 60-30-10=20인데 2적구가 10P, 5P와 같이 30이상 차이날 경우 저는 보통3팁으로 치면 15p정도 가니 10P가려면 10시3팁으로, 5P가려면 1팁당 1칸으로 계산하여 중단2팁으로 생각했거든요 질문 요약드리면, 30차이 날 경우와 안나는 각각의 경우 계산결과 보다 짧게 치려면 회전 중단1팁 줄일때 마다 1칸, 오시회전으로 올리면 반칸정도가 짧아지는 것으로 계산하면 될지? 중단 1팁줄일때마다 3쿠션에서 반칸, 오시회전으로 올릴땐 1/4칸 정도로 계산하면 될지입니다. 언제나 이해하기 쉬운 설명들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샬롬드림7 개월 전
@샤넬마스터 - ChanelMaster 답번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되었습니다 ^^ 많은 연습을 통해 제 회전의 감을 익혀야 겠네요. 좋은 하루 되세요~
샤넬마스터 - ChanelMaster7 개월 전
굉장히 어려운 질문입니다. 수구와 1적구의 거리가 있는 이런 형태의 비껴치기는 팁도 팁이지만 스트록과 속도의 영향을 굉장히 많이 받습니다. 때문에 개인적으로 저는 일출몰시스템을 주로 사용합니다. 쇼트샷으로 샷의 영향을 최소화해서 주로 치거든요. 그런데 예를 들어 50-25일때 2적구가 15포인트에 있으면 일출몰 시스템으로 모자랍니다. (4팁은 어렵거든요) 이때는 이 영상의 방법을 써서 회전을 살려 보냅니다. 샷을 좀 더 넣어주는 것이지요. 이는 시스템보다 스트로크의 차이입니다. - 30차이 안나는 경우 50-25-10=15인데 2적구가 10P, 5P(두경우)에서 들어가는 위치에 있을 때 회전을 중단2팁, 1팁을 치면 되나요?(1팁당 반칸 계산) 아니면, 10시 3팁, 중단2팁으로 쳐야할까요? → 반칸을 줄이기 위해 저는 중단으로 칩니다만 많은 분들이 중상단으로 치기도 합니다. 그런데 말이 중단이지 실제 타구할때 보면 상단이 조금씩은 들어갑니다. 눈높이도 있고해서 말이죠. - 30차이 날 경우와 안나는 각각의 경우 계산결과 보다 짧게 치려면 회전 중단1팁 줄일때 마다 1칸, 오시회전으로 올리면 반칸정도가 짧아지는 것으로 계산하면 될지? 중단 1팁줄일때마다 3쿠션에서 반칸, 오시회전으로 올릴땐 1/4칸 정도로 계산하면 될지입니다. → 죄송한말씀이지만 이런 case by case는 정답이 없습니다. (제가 모르는 것일수도...) 기울기, 두께, 스트로크에 따라 밀림의 정도가 달라서 경로가 정말 계산하기 어렵게 나옵니다. 이럴때 필요한게 감각이죠. 개인적으로 기울기가 많이 서 있으면 당점보다 스트로크의 길이와 속도로 조절을 합니다. 앞으로 갈려는 힘이 남아있기때문에 샷이 깊으면 더 많이 밀려서 길어지고 샷이 짧으면 덜 밀려서 상대적으로 짧게 구사할수 있죠. 기울기가 좀 누워있는 경우는 당점으로 조절을 합니다. 3팁, 2팁, 1팁 이렇게 말이죠. 기본적으로 저는 옆단을 사용하기는 하나 옆단은 상대적으로 회전량이 많으니 조금 길어질수 있고, 중상단은 조금 짧아질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에 따라 다를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기울기에 따른 차이를 일단 생각을 하고 연습을 통해 감각과 당점을 찾는것이 참 어렵습니다. 항상 같은 두께, 같은 스트로크를 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길게 질문을 주셨는데 만족스런 답을 못드려서 죄송하네요. 옆에 계신다면 좀 더 이해하기 쉽게 설명을 드릴수 있을 것 같은데 글로하니 참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장쿠션에서 떨어져있으면 1적구를 어떻게 맞추느냐에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거리가있으면 전진력의 영향으로 좀더 길어질수 있습니다. 떨어져있는 거리에 따라 보정치가 있긴할텐데, 변수가 워낙 많기때문에 그럴때는 어느정도 감각적으로 구사를하고 있습니다. 약간 길어진다고 감안하고 치는것이죠
파이브앤하프 시스템에서 10을 더 빼야하는군요. 이제야 아구가 딱딱 맞아들어가는 느낌입니다. 멋진 영상 고맙습니다.^^
샤넬마스터 - ChanelMaster년 전
넵 맞습니다 ㅎㅎ
호모사케년 전
오..이거 대단하네요~!~!
샤넬마스터 - ChanelMaster년 전
테스트 한번해보셔요 ㅎㅎ
mingo년 전
보고있으면 이미 나는 다 배운듯 쉽게 설명하십니다. 우째끼나 감사합니다.
샤넬마스터 - ChanelMaster년 전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Jean Durand년 전
Hello , thanks for this video. You can find some origin in Walt HARRIS ATLAS SYSTEM1 with name KIRIKAESHI system. I also read it was used by KOBAYASHI .
Abang Hyun년 전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중단 3팁에서 팁수를 줄여 나가는 방법은 각자 알아서 해야겠군요.
박진년 전
전 일출일몰 로 쳤었는데 이런방법이 있었네요. 빨리 칠수있어 좋겠네요. 느리다고 핀잔많이 들었는데 이 방법이 훨신 빠르겠어요. 감사해요.^^